Book
[Clean Code] TIL - 220125
refigo
2022. 1. 25. 15:41
2장. 의미 있는 이름
맥락이 이해가 가는 이름
1. 생각
이름에서 맥락이 이해가 가는 코드를 써야한다.
독자도 프로그래머이므로 문제를 해결할 때 쓰는 용어를 써도 괜찮다.
코드를 개선하려면 좋은 이름으로 바꾸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저항에 부딪히고 힘들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시도해야한다.
2. 기억하고 싶은 문장들
- 해법 영역에서 가져온 이름을 사용하라
코드를 읽을 사람도 프로그래머라는 사실을 명심한다. 그러므로 전산 용어, 알고리즘 이름, 패턴 이름, 수학 용어 등을 사용해도 괜찮다.
- 문제 영역에서 가져온 이름을 사용하라
문제 영역과 관련이 깊은 코드라면 문제 영역에서 이름을 가져와야 한다.
- 의미 있는 맥락을 추가하라
그래서 클래스, 함수, 이름 공간에 넣어 맥락을 부여한다. 모든 방법이 실패하면 마지막 수단으로 접두어를 붙인다.
- 불필요한 맥락을 없애라
일반적으로 짧은 이름이 긴 이름보다 좋다. 단, 의미가 분명한 경우에 한해서다. 이름에 불필요한 맥락을 추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마치면서
좋은 이름을 선택하려면 설명 능력이 뛰어나야 하고 문화적인 배경이 같아야 한다. 이것이 제일 어렵다.
암기는 요즘 나오는 도구에게 맡기고, 우리는 문장이나 문단처럼 읽히는 코드 아니면 적어도 표나 자료 구조처럼 읽히는 코드를 짜는 데만 집중해야 마땅하다.
여느 코드 개선 노력과 마찬가지로 이름 역시 나름대로 바꿨다가는 누군가 질책할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코드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